QUICK
* 소그룹성경공부를 비롯한 <큐틴>의 모든 컨텐츠는 국제제자훈련원의 허락없이 무단 복사와 인쇄를 금하며, 만약 복사와 인쇄할 경우 인쇄부수에 해당하는 저작권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문의 02-3489-4380)
4.7
4.14
4.21
2013 . 4
4.28
마음의 문을 열며
1815년 6월 16일, 황제 자리에서 쫓겨났다가 재기한 나폴레옹은 벨기에 리그니(Ligny)에서 연합군 프러시아에 맞서 싸워 승리를 했습니다. 그리고 곧바로 벨기에 브루셀 남방 워털루(Werterloo)에 주둔한 웰링턴이 이끄는 영국군을 박멸하기 위해 6월 17일 밤새도록 행군하여 한밤중에 워털루 언덕 아래에 도착했습니다. 나폴레옹의 전략은 속전속결과 강력한 대포였으며, 대포는 워털루 언덕 위에 포진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한밤중이고, 군대는 너무 지쳤고 대포는 내일 새벽에 설치할 생각에 나폴레옹은 모든 군대를 쉬게 했습니다.
6월 18일 운명의 날은 밝았고 대포를 배치하려고 했으나, 밤사이 비가 내려 땅이 진흙 구덩이로 변하는 바람에 대포를 옮길 수가 없었습니다. 결국 전투는 시작되었고, 나폴레옹은 패했습니다. 이것이 그 유명한 ‘워털루 전쟁’입니다. 전략 비평가들은 워털루 전쟁에서 나폴레옹의 패인은 그가 6월 17일 밤 5분간 최후의 투혼을 살려 대포를 언덕 위에 올려놓지 않은 데 있다고 말합니다. 나폴레옹의 실수처럼, 다윗도 자기 아들 압살롬의 범죄에 대해 방심한 채, 철저한 대처를 하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는 어떠했을까요?
말씀의 씨를 뿌리며
1. 다윗 왕과 화해 후 압살롬이 자신을 위해 한 일은 무엇인가요?(1절) 또한 백성들에게 한 행동은 무엇인가요?(2~6절)
2. 사 년 만에 압살롬은 다윗에게 어떤 요구를 하나요? (7~8절) 다윗 왕은 그 요구에 어떻게 반응하나요?(9절)
3. 압살롬은 재판을 위해 왕을 찾아온 백성들에게 정의로운 사람처럼 자신을 포장합니다. 이렇게 행동한 이유와 의도는 무엇일까요?(6절)
4. 암논을 살해한 후 압살롬은 그술에 3년(13:38), 예루살렘에 2년(14:28) 그리고 지금의 상황에 이르기까지 4년의 시간을 보냅니다. 이를 통해 압살롬을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할 수 있나요?
5. 다윗은 이스라엘에서 벌어지고 있는 반역의 움직임을 전혀 눈치 채지 못했습니다(9절). 오늘 우리는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단의 미혹에 얼마나 민감하게 깨어 반응하고 있나요? 우리가 늘 영적 전투의 삶 속에 살고 있다는 것을 느끼고 있나요?
6. 우리가 속한 영적 전투의 현장(학교, 학원, 가정 등)에서 어떻게 하면 승리의 삶을 살 수 있을까요? 또한 우리가 맺고 있는 관계 속에서 영적 승리의 삶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나누고 결단해 보아요.
삶의 열매를 거두며
압살롬은 온 이스라엘 가운데 아름다움으로 칭찬을 받있으나 왕의 자리를 꿈꾸며 야망에 가득 차, 지속적이고 계획적인 행동으로 백성들의 마음을 훔쳤습니다. 다윗과 압살롬의 모습은 오늘 우리들의 영적인 삶 속에서도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사단은 끊임없이 우리에게 다가옵니다. 그것도 아주 계획적이고 치밀한 방법으로 우리 삶의 왕좌에 오르려 합니다. 그때 하나님께서 주신 지혜와 능력을 갖고 나아가야 승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 삶이 주님과 강력한 끈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마치 아기가 엄마와 탯줄로 연결되어 엄마의 영양분을 먹고 튼튼하게 살아가는 것처럼, 우리도 하나님께서 주시는 힘과 능력으로 승리의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오늘도 하나님과 우리와의 탯줄을 든든히 하는 날이 되기를 소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