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으로 변한 유스터스의 회심 - 이야기와 교리7
《새벽 출정호의 항해》는 언뜻 보기보다 훨씬 ‘용’이라는 주제와 관념이 깊이 침투해 있는 작품이다. 우선 새벽 출정호 자체가 선두부터 선미에 이르기까지 한 마리 용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유스터스는 용으로 변했다가[화용(化龍)], 다시금 탈용(脫龍) 과정을 거쳐 사람이 되었다. 심지어 새벽 출정호를 건조한 캐스피언마저 용의 속성을 지녔다가 고침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이도 있다. 용은 《새벽 출정호의 항해》에서 부정적 특성을 가진 존재로 그려진다. 이 동물의 본성은 최소한 세 가지로 묘사할 수 있다. 첫째, 용은 탐욕이 대단했다. 자신이 거하는 동굴에 보물, 즉 금화, 금괴의 재료 등 귀중품들과 각종 보석들을 잔뜩 쌓아 놓고 있었다. 용에게는 보물이 아무런 쓸모가 없는데도 말이다. ...
문화를깨운다
2025년 10월
구독가이드
정기구독
날샘 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