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그룹 성경공부

* 소그룹성경공부를 비롯한 <큐틴>의 모든 컨텐츠는 국제제자훈련원의 허락없이 무단 복사와 인쇄를 금하며, 만약 복사와 인쇄할 경우 인쇄부수에 해당하는 저작권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문의 02-3489-4380)

  • 1주

    5.5

  • 2013 . 5

    2주

    5.12

  • 3주

    5.19

  • 4주

    5.26

마음의 문을 열며
다윗의 아들 압살롬의 반역이 남긴 상처는 매우 크고 심각했습니다.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축제의 분위기가 아니라 장례식 분위기였습니다. 다윗은 사랑하는 아들을 잃었고 이스라엘 지파와도 관계가 소원해졌으며, 그의 군대 장관이었던 요압과도 감정이 극도로 나빠졌습니다. 군사들과 백성들의 사기도 매우 떨어졌습니다. 전쟁에서 패한 것도 아닌데 왜 이런 상황이 되었을까요? 전쟁의 승리가 모든 군사들과 백성들에게 슬픔으로 다가온 그 이유는 무엇인지 본문을 통해 살펴보아요.

 

말씀의 씨를 뿌리며
1. 다윗은 아들 압살롬의 죽음 소식에 어떻게 반응했나요?(4절)

 

2. 압살롬의 죽음에 애통해하며 계속해서 슬픔에 잠겨 있는 다윗 왕에게 요압은 무엇이라고 질책하며 권고하고 있나요?(5~7절)

 

3. 요압의 거칠고 무정한 질책과 권고에 다윗은 어떻게 반응하나요?(8절) 그 행동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요?(15:2)

 

4. 다윗 왕 한 사람의 절제되지 못한 행동으로 백성들은 어떤 상황을 겪게 되나요?(2, 7절) 이러한 다윗의 모습을 보면서 우리는 무엇을 느낄 수 있나요?

 

5. 다윗의 모습을 보며 한 사람의 영향력이 얼마나 큰 지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약함이 우리에게는 없나요? 있다면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에게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나누어 보아요.

 

6. 그리스도인은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가 소속되어 있는 학교, 학원, 교회, 가정에서 아름다운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나요?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삶을 위해 구체적인 결단을 나누어 보아요.


삶의 열매를 거두며
압살롬의 군대를 쳐부수고 돌아온 그날, 다윗에게 승전 소식은 기쁨이 아니라 슬픔의 소식이 되었습니다. 압살롬의 죽음으로 다윗은 통곡하며 아들을 향한 슬픔을 드러냅니다. 그래서 승전한 군사들은 매우 처량한 모습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게다가 압살롬이 살고 자신들 모두가 죽었더라면 왕은 더 기뻐했을 것이라는 오해를 합니다. 다윗의 지혜롭지 못한 처신은 공동체가 하나 되지 못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지도자 한 사람의 절제되지 못한 감정과 표현이 공동체에 심각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아름다운 영향력을 발휘하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어떤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께 지혜를 구하며 선한 그리스도의 향기를 전하며 살아가는 우리가 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