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
유일하게 들리는 소리는 째깍거리는 시계소리 뿐, 얼핏 주변을 돌아보니 불편하게 앉아 있는 사람들이 보인다. 아무도 당신의 눈을 쳐다보는 사람이 없다. 이런 상황은 소그룹 인도자에게는 끔찍한 일이다.
사람들은 많은 이유로 침묵한다. 어떤 사람은 상처받지 않으려고 저항한다. 이런 사람은 알 수 없는 상황이나 오해받을 위험에 자신이 드러나는 것을 원치 않는다. 때로는 참여하기보다는 관찰하는 것을 더 좋아하는 내성적인 사람도 있다. 또는 말하기 원하는 것을 조리 있게 구상하느라 시간이 걸리는 사람도 있다.
모든 그룹원들의 참여는 소그룹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참여가 없는 소그룹은 소수가 모였다 하더라도 소그룹으로서의 장점과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소그룹 지도자는 모임이 있을 때마다 최소한 한번이라도 모든 사람을 참여시키는데 목표를 두어야한다. 그것을 위해서는 지도자의 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사람들이 왜 침묵하고 참여하지 않는지 그 이유를 진단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일단 사람들이 침묵하는 이유를 알고 있다면 아래에 소개된 방법들을 활용해서 좀 더 사람들을 참여시킬 수 있다.
1.말이 없는 그룹 멤버에게 미리 전화해서 다음 주에 할 것을 준비하고 조사해서 나누도록 요청하라. 사람들은 가끔 자신들이 말하기 원하는 바에 대해 생각할 시간이 주어지면 기꺼이 참여한다.
2.일주일전에 예수님을 영접하게 된 경위나 그 이후 변화된 삶에 대해 간증하라고 누군가에게 요청하라.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싶어한다.
3.모임 있기 최소한 이틀 전에 그룹의 한두 사람에게 기도응답 받았던 경험을 준비하도록 요청하라. 이들의 나눔은 그룹기도를 이끄는데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4.서로의 어색함을 없애주고 누구나 쉽게 대답할 수 있는 질문들, 즉 얼음깨기(icebreaker)질문을 통해 초청 된 사람들이 당황해 하지 않고 자신들의 삶을 조금씩 나누게 된다.
5.말이 없는 멤버에게 기도나 예배인도 등의 책임 질 수 있는 기회를 주어라. 당신은 그들이 주어진 역할을 잘 감당하는 것을 보며 몹시 놀랄 것이다.
6.주중에 공부할 범위에서 질문을 선택해서 몇 사람이 그 질문에 대답할 수 있도록 요청하라.
7.그룹 모임 후에 말이 없는 그룹 멤버와 대화하라. 배운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질문하라. 그리고 주중에 그가 나눈 생각에 매우 감사한다는 간단한 글을 적어 보내라. 다음 번에는 아마도 모든 그룹 멤버들 앞에서 그의 생각을 말하는 자신감을 보게 될 것이다.
8.그룹 멤버들이 의견을 말하면 지체하지 말고 즉시 격려하라.“당신이 그렇게 말하니 참 기쁘군요” 또는 “참 좋은 의견이군요” 와 같은 코멘트를 하라.“그 부분에 대해 생각 못해 봤네요” 라는 말은 모든 사람의 의견이 가치 있다는 자신감을 형성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