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월호 보기

2013년 03월

어리석은 자를 대할 때

과월호 보기

마음의 문을 열며
살다 보면 세상에는 참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하고, 모든 사람이 다 합리적이고 예의가 바르지는 않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세상에는 상식 밖의 행동을 하는 어리석은 자들이 있는데, 이들은 그들 자신의 곤란을 자초할 뿐 아니라 다른 이들
에게까지 상당히 큰 피해를 주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을 섬기는 지혜로운 자들은 이런 경우에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옳을까요? 우리가 어리석은 자의 상식
이하의 행동에 의해 어려움을 당한다면 어떤 원칙과 태도로 대처하는 것이 옳을까요?
오늘은 다윗과 그의 군대 장관 요압의 모습을 통해 이 문제에 대한 하나님의 원칙을 알아보려 합니다.

 


말씀의 씨를 뿌리며
1. 다윗이 암몬 왕 나하스의 죽음에 조의를 표하기 위해 보낸 사신들에 대해서 새롭게 왕이 된 나하스의 아들 하눈은 어떤
판단과 행동을 했습니까?(3~4절) 그의 정치, 외교적 결정에 대해서 어떻게 평가할 수 있습니까?
-> 다윗은 나하스에게도 은총을 베풀어 왔고, 그 아들 하눈에게도 동일한 원칙으로 대하려고 했으나 하눈은 어리석은 관리
들의 말에 귀를 기울여 자신이 아버지를 조문하러 온 다윗의 신하들의 수염 절반을 깎고 그 옷을 중동볼기까지 자르는
심한 모욕을 했다. 정치적으로 볼 때 그는 잘못된 수하들의 조언에 귀를 기울였다는 점에서 어리석었고, 외교적으로도
강력한 군사력을 지닌 다윗의 신하들을 모욕했다는 점에서 형편없는 선택을 했다.

2. 다윗은 자기 신하들이 당한 일을 전해 듣고 어떤 반응을 보였습니까?(5절) 전쟁에 익숙하고 용맹스러운 다윗이 이런
반응을 보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 즉각 분노하며 암몬을 칠 수도 있었지만 그는 일단 자기 신하들을 배려하는 선택을 했다. 어리석은 자들에게 감정적인
대응을 하기보다 침착한 대응을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3. 먼저 다윗을 모욕하며 싸움을 건 암몬은 이스라엘 군대를 막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했습니까?(6절) 그 군대의 구성원이
 어떠했는지 살펴보고, 이들의 군사적 선택에 대해서 각자 나름대로 평가해 봅시다.
-> 암몬은 이스라엘 군대를 막기 위해 용병을 고용했는데 그것도 벧르홉 아람 사람과 소바 아람 사람의 보병 2만 명, 마아
가 왕과 그의 사람 1천 명, 돕 사람 1만 2천 명을 고용했다. 숫자로는 꽤 많았지만 이렇게 다양한 배경을 가진 군대는 제대
로 된 명령체계가 설 수가 없기에 결국 오합지졸이 되고 만다.

4. 다윗의 군대 장관이었던 요압이 생각한 병법은 무엇이며, 그가 궁극적으로 의지할 곳은 어디였습니까?(9~12절) 소수 정예 병력과 기타 병력을 나눠 운영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요압의 용병술과 믿음에 대해서 어떻게 평가할 수 있습니까?
-> 요압은 소수의 정예병을 뽑아 용병이었던 아람을 치고, 나머지 대부분의 군대는 자기 동생 아비새에게 맡겨 암몬을 치
게 하였다. 적은 숫자라 하더라도 용맹한 정예병이라면 충성심이 없는 아람 용병이 아무리 많다 하더라도 충분히 격퇴할
수 있으며, 비교적 수적으로 우위에 있던 아비새의 본대 병력은 수적으로 열세인 암몬을 충분히 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었을 것이다. 요압은 적을 정확하게 파악해 지혜롭게 대처했을 뿐 아니라 하나님의 도우심을 철저히 의뢰했다.

5. 정치, 외교, 군사 모든 면에서 어리석기 짝이 없었던 암몬을 상대하면서도 신중함과 치밀함을 보일 뿐 아니라 하나님을
의뢰하는 태도까지 갖춘 다윗과 요압 모습에서 우리가 깨달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각자 생각을 나눠 봅시다.

6. 각자가 처한 상황을 돌아보면서 세상의 어리석은 태도들 때문에 겪는 어려움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이야기해 봅시다.
그리고 그것들에 대해서 다윗과 요압처럼 지혜롭게, 그리고 믿음으로 대처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나눠 봅시다.

 


삶의 열매를 거두며
어쩌다가 몰상식한 행동이나 비합리적 문화를 만나게 되면 쉽게 분노하거나 그들과 똑같은 방법으로 대처하고자 하는
충동을 느끼게 됩니다. 만약 다윗이 소식을 듣고 즉시 분노하여 암몬을 쳤더라도 전쟁에서 이겼을 가능성이 훨씬 높긴
하지만, 이스라엘의 피해도 만만치 않았을 것입니다. 또한 요압이 적군의 압도적인 숫자를 보고 두려워했거나,
반대로 무모한 전면전을 시도했다면 패하거나 이기더라도 아군의 손실이 컸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윗과 요압은 차분하
면서도 지혜롭게 상대를 파악하고 제대로 된 대처법을 찾아 대응했고, 손쉬운 승리를 얻었습니다. 세상에는 하나님의 지혜
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어리석은 자들이 많이 살고 있습니다. 우리가 그들 가운데 살아가면서 “뱀같이 지혜롭고 비둘기같
이 순결하게”(마 10:16) 살아가기 위해서는 하나님을 전적으로 신뢰하며 늘 그 지혜를 덧입으려 노력해야 합니다. 오늘 내
가 처한 상황에서 가장 지혜로운 방법이 무엇인지 늘 기도로 분별할 수 있기 바랍니다.